백두산 및 고구려 문화유적 답사 연수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8_cafe_2008_10_08_19_54_48ec90f176202)
세계평화 청년연합 회원 및 이를 동조하는 회원 43명이 2008년 10월 1일부터
10월 6일까지 6일간 백두산 및 옛 고구려 문화유적 답사 연수를 하였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3_cafe_2008_10_08_19_54_48ec90fc9a47c)
중국 통화지역에서 백두산으로 들어갔으며,
이곳은 백두산 (장백산) 입구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5_cafe_2008_10_08_19_55_48ec911da321a)
눈이 내린지 3일 후인 10월 3일에 백두산에 등산하였으며
천지의 왼쪽 모습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9_cafe_2008_10_08_19_55_48ec91264f687)
백두산의 높이는 2744m 이며, 해발고도 2,500m 이상의 봉우리 16개가
천지를 둘러싸고 있다. 위의 사진은 천지의 오른쪽 모습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9_cafe_2008_10_08_19_55_48ec912f690f7)
오후 1시경에 천지까지 올라가서 몇번 촬영을 했으나
곧 안개가 덮여져 더 촬영할수 가 없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3/1_cafe_2008_10_13_15_11_48f2e6704fea1)
푸른 천지를 볼 수 있는 맑은 여름철 낮에 촬영한 백두산 경치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6_cafe_2008_10_08_19_55_48ec9139dc126)
백두산 아래에 있는 장엄한 백두산대협곡(장백산대협곡)으로서 길이 15km,
골의 깊이 70~100m, 넓이 100~200m, 경사가 급한 계곡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5_cafe_2008_10_08_19_55_48ec91453a3a5)
원시림 사이로 통로를 지나면서 백두산대협곡(장백산대협곡)의
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8_cafe_2008_10_08_19_55_48ec915011c25)
중국 단동쪽에 설치한 압록강 철교의 단절 된 표시판 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4_cafe_2008_10_08_19_55_48ec916076946)
압록강 구 철교는 신의주쪽에 지금도 끊어져 있으며,
오른쪽은 단동쪽 선착장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6_cafe_2008_10_08_19_58_48ec91be8a0b1)
중국 단동과 신의주가 압록강을 경계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,
약 90만명의 단동시가지는 많이 발전되었으나
멀리서 본 신의주는 그렇지 못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8_cafe_2008_10_08_19_58_48ec91c798f3b)
1943년에 완공한 신철교로서 중국 단동과 신의주를 왕래하는
복선형 열차교량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2_cafe_2008_10_08_19_58_48ec91d77f1fc)
중국 길림성 집안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대왕(19대, 호태왕)의
치적을 새긴 비각이며,
세계문화유산으로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5_cafe_2008_10_08_19_58_48ec91e0cf714)
중국 집안에 있는 고구려 광개토대왕 비각의 비문은 높이 6.39m,
각력응회암으로 된 불규칙한 4각기둥 모양 밑에
화강암 받침대로 되어 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4_cafe_2008_10_08_19_58_48ec91ec75de1)
고구려 광개토대왕 비각 안쪽에 대왕릉이 있으며,
장군총 4배나 되는 장방형의 큰 무덤이나
심하게 훼손되어 자갈무덤으로 남아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5_cafe_2008_10_08_19_58_48ec91fd93ed3)
중국 길림성 집안에 있는 고구려 장수왕릉(20대)으로서
적석총이며 장군총라고도 한다.
형체가 가장 잘 보존되어있는 왕릉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6_cafe_2008_10_08_19_58_48ec920e50d1a)
고구려 장수왕은 79년간 재위한 왕으로서
고구려 역사상 국력이 가장 충실한 시기였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4_cafe_2008_10_08_19_58_48ec923754558)
고구려 장수왕이 97세까지 장수하였기에 태자(아들)가
먼저 죽어서 장수왕릉 뒤에 있는
허물어져있는 아들 무덤이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10_cafe_2008_10_08_19_58_48ec924521ccf)
중국 길림성 집안에 있는 고구려 국내성으로서
성벽의 전체 둘레는 6,951m, 높이 5m 로
돌을 다듬어 석축을 쌓고 안쪽에 흙을 채우는 토.
석성이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.
![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.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95/3_cafe_2008_10_08_19_59_48ec924f79bdc)
중국 요녕성 단동시에 있는 '호산장성'은
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만리장성의 동쪽끝이라고 한다.
실제 만리장성 동단은 훨씬 남쪽에 있는 '산해관'이며,
이 성은 고구려 박작성(천리장성)이 있던 곳에
만리장성 축조형식대로 쌓아서 만든 성이다.
***** 사진촬영 및 정리 : 白岩 *****
|